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SKT 슬림 요금제 가입 후 남기는 후기입니다. 요금제를 변경하기전에 저에게 맞는 요금제를 찾으려고 했는데요. SKT 요금제 중에서 비슷한 요금인 슬림, 베이직, 다이렉트 요금제 등을 비교해서 결국 슬림 요금제를 고르게 됐습니다. 알뜰한 요금제도 중요하지만, 내가 데이터를 얼마나 사용하는지, 전화/문자 사용이 중요한지 등 여러분 사용 패턴에 맞는 요금제를 고르는 것도 중요한데요. 요금제를 고를 때 고려할 내용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SKT 장기가입 고객 할인, 선택약정 25% 할인을 받을 수 있었는데요. 여러분도 받을 수 있는 할인과 통신사 이동, 신규가입 이벤트 등을 알아보시면 더 저렴하고 좋은 조건의 요금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SKT 슬림 요금제 후기 먼저 슬림 요금제 주요..

안녕하세요. 이 글은 통신사 SKT 사용하시는 분들이 사용중인 요금제를 알아보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T 월드앱과 SKT 홈페이지에서 요금제 확인 방법과 잘 맞는 요금제 고르는 팁도 말씀드리겠습니다. 몇 년전에 가입했던 요금제를 계속 사용중인데요. 최근 데이터가 부족하다고 느껴져서 요금제를 알아보니, 같은 가격인데도 혜택이 훨씬 좋은 요금제가 많더라고요. LTE 요금제 사용중인데, 같은 가격에 5G이고 데이터 양도 2배 이상 많다보니, 여태 안바꾸고 있던게 억울함이 느껴졌습니다. 자급제폰이라 약정도 없고해서 당장 요금제를 바꿨는데요. 현재 사용중이신 요금제를 확인해보시고, 다른 요금제를 비교해서 더 나은걸로 바꿔보시길 바랍니다. SKT 사용중인 요금제 확인 / 조회 1) T world 앱에서 조회 먼..

안녕하세요. 이 글은 갤럭시 데이터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와이파이를 제외한 순수 데이터 사용량만 확인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 요금제를 선택하기 전에 꼭 알아두셨으면 하는 내용입니다. 데이터 사용 제한 거는 방법과 함께 사진 설명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요즘 통신비가 워낙 비싸다보니, 5명 중 1명 이상은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중일 정도로 알뜰폰 요금제 가입자가 많은데요. 요금제를 선택할 때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맞춰서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요즘 요금제는 전화와 문자는 기본으로 제공되고 데이터량에 따라 요금제를 선택하게 되는데요. 대부분의 요금제는 5G 데이터 10GB, 5GB 등 일정량을 제공하고, 모두 소진시 느린 속도로 제공합니다. 무제한으로 사용한 데이터는 통신사 앱에서 조..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오픈형 블루투스 이어폰인 브리츠 네오팟5 (Britz Neopods5) 구매 후기입니다. 커널형 이어폰을 오래 사용하다보니 귓속 외이도까지 닿는 게 부담스러워져서, 이번에 오픈형 블루투스 이어폰을 찾아 구매까지 하게 됐는데요. 오픈형 이어폰은 주변 소리가 들리는게 장점이자 단점이 되는 특징을 가졌습니다. 주변 소리를 완전히 차단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온전히 이어폰 소리만 즐기기는 힘듭니다. 반면 집이나 조용한 곳에서 사용하기엔 귀에 부담이 덜해서 개인적으론 오픈형 이어폰을 선호합니다. 그럼 오픈형 무선 이어폰인 브리츠 네오팟5에 대한 후기와 스펙 등을 보시길 바랍니다. 가성비 오픈형 블루투스 이어폰은 브리츠 외에 다른 브랜드 제품을 찾기 힘든데요. 브리츠 네오팟5 외에 제가..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빙 웹마스터도구에서 사이트맵, RSS를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ChatGPT의 등장으로 검색 엔진 Bing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블로그나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입장에서, 그 동안 신경쓰지 않았던 빙에서의 노출을 신경쓰게 되는데요. 그러다보니 이전엔 구글, 네이버에서나 했던 것처럼 Bing에도 사이트 추가를 해줬습니다. 사이트맵, RSS 등록을 해두면 새로운 글을 발행할 때마다 검색 사이트에 상위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일종의 상위 노출을 위한 SEO의 기본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럼 아래 내용 참고해서 사이트맵과 RSS 빙에 등록해놓으시길 바랍니다. 빙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해놓는 방법입니다. Bing 빙 사이트맵, RSS 추가 방법 먼..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빙 웹마스터도구에 여러분의 사이트,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이트맵(sitemap), RSS 등록하는 방법도 함께 합니다. ChatGPT 때문에 블로그를 하는 입장에서 걱정이 있었는데요. Bing도 결국 웹상에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해서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스(온라인 상에 내용이나 글)가 필요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아직까지 블로그를 하는건 괜찮다고 생각이 듭니다. 다만, ChatGPT가 빙(bing)에서 사용가능하다보니 이에 대한 준비는 필요하겠는데요. 그 동안은 유입이 거의 없던 빙이었지만, ChatGPT 사용자가 늘수록 빙을 통한 유입이 늘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여러분의 사이트 및 블로그를 등록해두시면 더 많은 방문자를 만들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