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맵 거리재기 안녕하세요 디디 스토리입니다. 오늘은 카카오맵 어플의 기능 중 하나인 '거리재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합니다. 예전부터 궁금했었는데, 이번에 공유해보겠습니다. 카카오맵 어플리케이션 간단하게 거리재는 방법 지도 어플을 사용하게 되면서 어딘가를 가기 전에 꼭 교통편과 소요시간을 항상 확인하는 습관이 생긴 것 같습니다. 주로 '위치 검색'이나 '길 찾기' 기능만 사용하죠. 그러다 '거리재기' 기능을 찾게 된 순간이 있었는데요, 바로 야외에서 운동을 한 다음이었습니다. 동네 운동장을 여러바퀴 뛰고 나서 문득 얼마나 뛴건지라는 의문이 들었어요. 주로 사용하던 네이버 지도 모바일 앱에서는 거리재는 기능이 없었는데요, 카카오맵에 거리재기 기능이 있어서 이번에 옮겨 타게 됐습니다. 거리재는 기능이 필요..

안녕하세요. DD STORY입니다. 오늘은 페이스북에서 타임라인과 관련한 설정을 PC와 모바일에서 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SNS종류가 여러가지로 늘어나면서 페이스북을 점점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서 친구의 소식보다는 정보나 광고 글이 더 많이 뜬지 꽤 지났습니다. 다른 SNS를 더 이용하면서, 자연스럽게 페이스북 사용빈도가 점점 줄어들었는데요. 그래도 그 동안 올린 추억이 담긴 게시물들을 삭제할 수 없기에 유지만 하고 있습니다. '페북 탐라'란 '페이스북 타임라인'의 줄임말인데요, 자신의 계정에 올린 게시물들의 집합체(?)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타인에게 타임라인 공개범위 설정과 이전에 올렸던 게시물을 선택적으로 타임라인에서 숨기고 해제할 수 있는데요, 쉬운 방법이..

안녕하세요 DD STORY입니다. 이번엔 기본적인 카카오페이 사용방법에 대해 작성해보려합니다. 카카오페이에서 돈을 받고, 친구에게 송금하기, 송금한 돈을 취소하는 방법까지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 사업 중 카카오페이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돈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 앱으로 계좌이체를 하려면 기본적으로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한데요. 카카오페이는 친구의 계좌를 몰라도 매일 사용하는 카톡으로 쉽게 이체할수 있습니다. 사용이 간편하니 주로 친구들과 더치페이 할 때 사용하는데요. 한 명이 결제하고 보내야되는 금액을 알려주면 요새는 카카오페이로 보내줍니다. 카카오톡에서 친구로 등록이 되어 있으면 원하는 금액을 바로 송금할 수 있어요. 송금기능 외에도, 결제나 재테크에 필요한 금융상품 등 다른 기능들도..

안녕하세요 DD 스토리입니다. 오늘은 유명 OTT(Over The Top) 플랫폼인 넷플릭스에서 시청기록을 삭제하는 방법과 앱에서 언어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OTT 플랫폼이 발전해가고, 시청 가능한 영상들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TV를 많이 안보게 되고 있는데요. 넷플렉스와 유튜브를 보는 시간은 점점 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넷플릭스의 장점 중 하나는 한 개의 아이디로 동시 시청이 가능하다는 점일텐데요. 나눠서 결제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함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엔 무료체험으로 시작했다가, 지금은 친구들과 요금을 나눠 내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료체험만 하고 해지하려 했는데, 볼게 많고 친구가 때마침 같이 쓸 멤버를 구하고 있어서 냉큼 참가했어요. 요금이 부담..

안녕하세요, 일상의 리뷰와 일상 생활에 필요한 소소한 정보들을 전하는 DD 스토리입니다. 보고서의 구성과 내용이 중요하지만, 내용을 읽기 좋게 만드는 것 또한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한데요. 이를 위해, 일명 보고서 꾸미기에 단축키를 잘 사용할 줄 알면 시간을 줄여줘 일을 수월하게 해줍니다. 그만큼 다른 일에 집중하거나, 쉬는 시간을 벌어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공무원이나 군대에서는 워드보다는 한컴오피스(한글)을 주로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저는 한글로 문서를 작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했던 단축키가 자간과 줄간격입니다. 많이 썼던 만큼 손가락이 기억하고 있는데요, 아래에서 글의 상하좌우를 늘리고 줄이는 단축키와 어떻게 사용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글 자간 단축키 자간 줄이기 : + + 자간 늘..

제로페이란? 서울에서 버스를 타고 다니다보면 제로페이 광고를 쉽게 들을 수 있는데요, 소상공인의 가맹점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입니다. 최근 재난긴급생활비를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하면서 많이 알려진 것 같습니다. 카드로 결제를 하면 판매자는 카드사와 VAN사에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데, QR코드를 사용해서 소비자의 계좌에서 판매자의 계좌에 직접 이체하는 것과 비슷한 결제 방식입니다. 중간 카드사와 VAN사에 지불해야할 수수료를 대폭 낮춰주기에 소상공인의 마진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소비자가 사용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는데요, 소비자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해 제로페이 사용대금의 30%를 소득공제 공공시설 이용요금 할인 등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의 편의성을 위해 기존에..